정부가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 지원을 위해 총 76조원 규모의 맞춤형 기업금융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그간 정책지원에서 소외됐던 중견기업에 15조원을 집중 투입한다.
금융위원회는 15일 은행연합회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 주재로 은행장 및 정책금융기관장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지원방안에서 정부는 그간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밀려 정책금융 ‘사각지대’에 있던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했다.
국내 중견기업은 5576곳(전체 기업의 1.3% 비중)으로 숫자는 적지만 총 매출액(14.4%)와 고용(12.9%) 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다만 중견기업의 차입금 평균 이자율은 평균 4.56%으로 대기업(3.25%)·중소기업(3.52%)보다 1% 포인트 이상 높고, 회사채 등 직접금융 이용도 쉽지 않았다. 중견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 10% 미만에서 2022년 14.1%까지 증가했다.
정부는 우선 신성장 진출 중견기업에 6조원 규모의 전용 저리대출 프로그램을 공급하기로 했다. 업체당 최대 1500억원까지 1% 포인트 금리를 우대해 대출 지원하며, 오는 4월 출시 예정이다.
국내 최초로 중견기업 신산업 지원 전용 펀드도 조성한다. 투자대상은 사업재편 및 스케일업,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 중견기업 및 예비 중견기업이다. 5대 은행과 성장금융(모펀드 운용사)은 1차로 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성과에 따라 운영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최대 5조원이다.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중견기업의 자금조달도 지원한다. 중견기업이 사모사채(P-CBO)를 발행할 때 유동화증권에 대한 신용보강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향후 외부 증권사를 통하지 않고 신용보증기금이 직접 유동화증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신보법 개정도 추진한다. 이렇게 되면 기업당 평균 연 3000만원 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 되더라도 금융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성장단계별 보증지원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 후보기업, 초기 중견기업, 도약 중견기업 등으로 성장하는 과정에 맞춰 보증이 이뤄지는 것이다. 기업당 보증한도는 최대 500억원까지 확대돼 중견기업도 보증부 저리자금을 이용해 투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