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스트 섬 야생생물 소재 선진화 연구단 참여

입력 2024-02-15 10:11
(왼쪽부터)디지스트 핵심단백질자원센터 최성균 센터장, 부경대학교 류보미 교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정진우 부장. 디지스트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디지스트) 핵심단백질자원센터는 부경대학교와 함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섬 야생생물 소재 선진화 연구단’ 사업에 공동 연구개발 기관으로 참여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가생물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의 일환으로 바이오 분야의 성장 가속화를 위해 생물소재 인프라를 육성하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환경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협력하는 사업이다. 섬 야생생물 소재와 유용 정보를 확보하고 기능성 연구를 통해 학문적, 산업적 가치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스트와 부경대학교는 섬 야생생물 유래 천연물 소재화 과제에 참여하게 됐다. 부경대학교는 확보된 소재의 추출물(주정 및 분획물 등) 생산과 지표·기능 성분의 단일물질을 확보하고 디지스트는 성분분석을 통한 핵심 정보 생산과 기능성 연구(항암 등)로 역할을 분담해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디지스트는 지난해 6월 이 사업의 일환으로 섬 야생생물 여로의 추출물인 베라트라민(Veratramine)의 전립선암 증식억제 메커니즘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한 바 있다. 올해부터는 공동 연구개발 기관으로 정식 참여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섬 야생생물 소재 선진화 연구단의 최경민 단장은 “올해 두 기관의 추가 참여로 연구 결과의 양적, 질적 향상은 물론 신규 프로젝트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섬 야생생물 소재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지스트 핵심단백질자원센터 최성균 센터장은 “연구단에 참여함으로써 우리 연구진의 강점인 천연물 소재기반 기능성연구를 원활히 수행할 것”이라며 “많은 부처가 함께하는 사업인 만큼 원활한 교류를 통해 신규 프로젝트 발굴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