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시교육청, 교육발전특구 공모…“부산 전체를 교육발전특구로”

입력 2024-02-14 17:40
부산시와 교육청, 16개 구·군, 지역대학 등은 지난 1월 23일 부산형 통합 늘봄 프로젝트 '당신처럼 애지중지' 비전 발표장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은 지난 8일 교육부가 주관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지정 공모’에 신청했다고 14일 밝혔다. 공모는 부산시 전체를 교육발전 특구로 지정하는 제2유형에 맞춰 특구 운영기획서를 제출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이 대학, 산업체 등 지역기관과 협력해 지역맞춤형 교육발전 전략을 자율적으로 마련해 지역인재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고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기반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다.

두 기관은 지난해 11월 교육발전특구 전담팀(TF)을 구성해 사업 과제를 발굴해 왔다. 특히 지난달 부산지역 16개 구·군과 22개 대학이 참여하는 대규모 협약을 체결하는 등 지역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도 구축하는 등 공모 신청을 준비해 왔다.

시와 교육청은 ‘교육의 힘으로 부산을 글로벌 허브 도시로’란 비전으로 운경기획서를 제출했다. 기획서는 ‘부산형 통합 늘봄’ ‘부산발 공교육 체인지’ ‘디지털 교육혁신’ ‘글로벌 인재 양성’ ‘대학 혁신’ 등 5가지의 중점 전략을 중심으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19개 세부 과제가 담겼다.

구체적으로 지난달 발표한 부산형 통합 늘봄은 0∼11세까지 어린이를 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시·교육청·구·군·대학의 통합 지원 체제를 구축한다. 지역산업 수요 연계 직업 교육을 시행해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고, 부산대, 부산교대와 함께 에듀테크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세계적 교원 양성을 위해 IB교원 양성 과정을 도입하는 한편 글로컬대학과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연계해 지역대학 혁신으로 지역인재 양성과 정주 환경을 지원한다. 영어 하기 편한 도시에 걸맞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도 추진하고, 외국인 유학생 통합지원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글로벌 인재 유치에도 힘쓸 계획이다.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은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지정된다. 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되면 30억원에서 최대 100억원의 특별교부금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공모 결과는 내달 초 발표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교육 문제 해결은 인구소멸·지역 소멸 위기의 대안인 동시에 지역경제를 도약시킬 최적의 수단”이라며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부산에서 아이 키우기 좋고, 교육하기 좋다는 얘기가 절로 나올 수 있도록 최종 지정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