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을 사용하지 않는 ‘양액재배’가 작물 수확량과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충남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도 농기원은 2019년부터 44억원을 투입해 잎들깨와 엽채류, 쪽파, 건고추 등 7개 작목을 대상으로 ‘시설원예 양액재배 다품목 확산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양액재배 농법을 도입한 서천의 한 쪽파 농가는 기존 대비 수확 횟수와 소득이 3배가량 증가했다. 이 농가는 670㎡ 규모의 쪽파 시설하우스에 양액재배 시설을 설치한 뒤 연간 2회 수확하던 쪽파 생산량이 6회로 늘었다.
수확량은 기존 2000㎏에서 5100㎏으로 2.5배, 조수입은 1400만원에서 4400만원으로 3.1배 증가했다. 소득 역시 1100만원에서 3300만원으로 3배 증가했다.
같은 땅에서 벼를 재배했을 때 연간 소득이 70만원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쪽파 양액재배를 통해 47배 많은 소득을 올린 셈이다.
부여의 한 상추 재배 농가는 분무경 양액재배를 통해 연 3회에 불과하던 수확 횟수를 10회로 끌어올렸고, 수확량 역시 2만9700㎏에서 9만9000㎏으로 늘렸다.
이에 따라 경비를 뺀 수입은 8910만원에서 3억원으로, 소득은 4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5배가량 증가했다.
김시환 충남도 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장은 “양액재배가 수확량과 소득을 높여준 것으로 판단된다”며 “투입 대비 효과를 위해선 양액재배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액재배는 작물을 흙 대신 인위적인 재배 틀에 심어 영양분을 공급해 키우는 농법이다. 연작장해 경감과 병충해 저감, 수확량 증대 등의 장점이 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