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어르신이 행복하고 편안한 노후를 보내도록 올 한해 다양한 분야의 노인복지 시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남도의 올해 편성된 노인복지 예산은 1조6000억원이다. 이는 도 전체예산의 15%를 차지하는 규모로 전년보다 1000억원이 늘었다.
도는 해마다 늘어나는 노인복지 수요에 맞춰 양적인 성장과 함께 올해 추진되는 주요 노인복지 시책에는 질적 성장도 함께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어르신 소득보장 마련(7), 어르신 돌봄서비스 제공(11), 어르신 생활개선(13), 어르신 여가‧취미활동 지원(12) 등 4개 분야 43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분야별로 어르신 소득보장의 경우 기초연금은 최대 단독 33만4810원, 부부 53만5680원으로 전년보다 3.6% 인상해 소득하위 70% 어르신에게 지급한다.
노인일자리는 7000명이 늘어난 6만4000명으로, 참여자 활동비도 공익활동형 월 2만원, 사회서비스형 월 5만원으로 올려 어르신에게 보다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키로 했다.
어르신에게 적합한 일자리 발굴과 교육훈련 등 서비스를 하는 시니어클럽은 2025년까지 모든 시군에 1곳씩 설치 완료한다. 경로당 공동작업장과 시장형 노인일자리 사업 초기 투자비도 계속 지원한다.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돌봄서비스도 확대한다. 올해 대상자가 2000여명이 늘어난 6만명에게 제공된다. 독거노인과 장애인 4만3000명을 대상으로 댁내 응급호출기, 활동감지기 등을 설치해주는 응급안전안심서비스도 추진한다.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정서적으로 취약한 어르신 1100명에게 반려로봇 인형을 보급하는 등 어르신 모두가 만족하는 수요 중심의 맞춤돌봄서비스로 업그레이드한다.
어르신 생활환경 개선도 꼼꼼하게 살핀다. 재가서비스 이용자와 요양시설 입소 수급자 지원을 위해 올해 1200억원, 양로시설 10곳에 82억원을 투입한다. 노인요양시설 확충사업을 위해 13곳에 31억원을 지원한다. 장기요양시설 종사자의 고충 해소를 위해 장기요양요원 지원센터를 설립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이밖에도 어르신의 여가·취미활동 중심 역할을 할 경로당 9200곳에 142억원의 운영비를 지원한다. 난방비와 냉방비도 지급해 한랭·온열질환 사고 등을 예방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사진) 전남도지사는 14일 “세수 감소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어르신 복지를 위해 올해 예산 1000억원을 증액했다”며 “앞으로도 어르신을 더욱 공경하고 세심하게 살펴 보다 행복한 노후를 보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