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은 교육부에서 추진하는 2024년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육성 사업 공모에 인천시와 함께 참여한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이상돈 부교육감과 박덕수 행정부시장 등 양 기관 관계자 10여명은 지난 13일 인천시청 회의실에서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지역 산업 인재를 육성해 취업부터 성장과 정주에 이르도록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업무협약 체결 등 행·재정적 힘을 모으기로 협의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기업, 특성화고 등이 지역·국가에 필요한 특수산업 분야 및 지역 기반 산업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협약을 맺은 뒤 맞춤 교육을 실현하고 학령인구 급감과 청년층의 지역 이탈 등으로 빚어지는 지역 소멸 현상에 대응하며 중등직업교육의 선도모델을 육성할 수 있도록 도입됐다.
시교육청은 지난달 지역 내 특성화고를 대상으로 협약형 특성화고 희망 신청을 받아 설명회 및 협의회를 거쳤다. 이후 반도체 분야에 인천반도체고교(옛 인천정보과학고등학교)를, 항공 분야에 정석항공과학고교를 공모에 올리기로 했다.
반도체와 항공산업은 시가 지난해 10월 선정한 6대 집중 육성 전략산업 분야다. 시교육청과 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직업교육 혁신지구사업 운영 분야로 협약형 특성화고가 지정되면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은 인천의 수출 분야 1위로 지역에 1299개의 반도체 관련 기업이 포진돼 있고, 인천국제공항은 2023년 세계 공항 순위 4위에 올랐다”며 “인천의 반도체 및 항공 관련 산업체, 대학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을 받으면 학생들이 해당 분야의 전문인력으로 성장할 뿐 아니라 인천에 정주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