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의 거세지는 박해 속에서 중국 내 기독교 가정마다 자녀를 신앙으로 양육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인식 기술까지 동원해 종교 생활을 감시하는 분위기 속에서 중국교회들은 중국이 문화와 종교를 말살했던 문화대혁명(1966~1976) 이후 가장 극심한 박해를 받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13일 영국 기독교 박해 감시단체인 릴리즈인터내셔널(RI·Release International)에 따르면 중국이 현지 학생들의 신앙을 확인하면서 기독교인으로 드러나면 신앙을 포기하겠다는 문서에 서명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RI는 지난달 발표한 ‘2024년 박해 동향 보고서’에서 중국을 특별한 관심 대상 국가로 지정했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의 간섭으로 많은 교회가 폐쇄됐다고도 전했다. 또 수년간 중국에서 어린이들의 예배 참석이 공식적으로 금지되고 있다고도 했다. 부모가 자녀에게 성경공부 등 신앙을 교육하면 경제 활동에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기독교 박해 감시기구 차이나에이드 대표 밥푸 목사는 RI에 “자녀가 자신의 신앙을 스스로 비난하도록 하는 데 부모가 협조하지 않으면 직업 활동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부모가 자녀에게 기독교를 믿지 않도록 설득하지 못하면 조부모 등 다른 가족이 공중보건 혜택을 받지 못한다”고 보고했다.
중국 교회가 문화대혁명 이후 극심한 박해를 겪는 데는 안면인식 카메라 등 첨단 기술에 의한 감시 탓이 크다. 차이나에이드는 수많은 중국인들이 아년 인식 카메라로 지속적인 감시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밥푸 목사는 “모든 시민은 매일 최소 두 대의 디지털 안면 인식 카메라로 감시받는다”며 “중국 지방 정부는 시민들의 전화까지 원격으로 엿듣고 있다. ‘스마트 종교 애플리케이션’까지 만들어 주일에 교회에 가려면 신분증과 직장 주소, 개인 정보를 미리 등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