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쁘고 돈 아까워” 아파도 참는 청년들…58% “우울해”

입력 2024-02-13 08:09 수정 2024-02-13 10:09

대한민국 청년 10명 중 4명은 아파도 ‘바쁘고 돈 아깝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13일 발표한 ‘청년 빈곤 실태와 자립 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만 19∼34세 청년 4000명(남성 1984명·여성 20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1.6%가 ‘최근 1년간 아픈데도 병원에 가지 못했다’고 답했다.

병원을 찾지 못한 이유로는 ‘병원 갈 시간이 없어서(바빠서)’가 4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병원비(진료비)를 쓰는 것이 아까워서(의료비 부담)’ 33.7%, ‘약국에서 비처방약을 사 먹어서’(9.3%) 순이었다.

최근 1년간 월 생활비에서 의료비 평균 지출 비중은 ‘5% 이하’가 54.0%로 가장 많았고 ‘6∼10%’가 18.2%, ‘전혀 없음’이 13.2%로 집계됐다. 전체 생활비에서 의료비로 들어가는 비용이 ‘부담스럽게 느껴진다’고 답한 비율은 40.0%였으며 ‘부담되지 않는다’는 30.9%였다.

특히 청년의 절반 이상은 최근 1년간 병원, 건강검진센터, 보건소 등에서 건강검진을 받아 본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주요 건강 지원 정책 가운데 최우선 순위로 50.6%가 ‘2030 무료 건강검진 확대’를 들었다.

가장 시급한 정부의 청년 건강 정책으로는 ‘청년 의료비 지원 확대’(32.8%)가 꼽혔다. ‘청년 심리상담 지원 확대’는 28.9%, ‘청년 건강검진 확대’는 24.4%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제공

청년들이 친구나 가족 등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받기도 녹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5.2%는 ‘아플 때 도움을 요청할 만한 주변 사람이 없다’고 답했다. ‘있다’고 한 청년의 52.4%도 ‘최근 1년간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정서적으로 의지할 만한 사람이 없다’고 밝힌 비율은 13.2%, ‘최근 한 달간 사적으로 사람을 만난 적이 없다’고 한 비율은 16.4%였다. 최근 한 달간 10명 중 9명은 ‘혼밥’을, 10명 중 3명은 ‘혼술’을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밖에 ‘우울한 상태’라고 답한 청년은 57.8%, ‘자살 생각을 한 적이 있다’고 답한 청년은 37.1%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청년 건강검진 홍보를 강화하고 취약 청년층에 대한 의료비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연령대별, 성별, 실업 여부, 지역 등에 따른 맞춤형 건강 정책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