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여성 대상 범죄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 체계를 강화한다.
우선 오는 7월부터 스토킹 피해자에게 임시 숙소를 제공하는 긴급 주거지원 사업이 시행된다.
최대 30일간 머물 곳을 지원한다. 법률·의료·전문 상담기관을 연결해 필요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가정폭력상담소’를 ‘여성폭력피해 통합상담소’로 확대 개편한다.
상담 내용을 가정폭력에서 여성폭력 전반으로 확대하고, 전문 상담인력을 1명 추가 배치한다.
2021년부터 매년 사업 공모를 통해 운영해 온 ‘디지털성범죄 특화 프로그램’을 올해부터 정규 기구인 ‘디지털성범죄상담소’로 개편한다.
디지털성범죄상담소는 전문 상담사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 피해 회복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피해자의 요청이 있거나 긴급한 경우에는 불법 촬영물 삭제도 지원한다. 제주지역에선 지난 한 해에만 864건의 상담·삭제 등이 이뤄졌다.
여성 대상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도 다각도로 추진한다.
주민 왕래가 많은 주민센터, 아파트 입구 등에 설치하는 안심 무인택배 보관함을 올해 2곳 늘려 총 16곳 운영한다.
특히 올해는 24시 편의점을 여성안심지킴이집으로 시범 지정할 예정이다.
여성 1인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비상벨 지원사업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올해도 지속 추진한다.
제주지역에서는 검거 건수를 기준으로 매년 2500건 내외의 여성폭력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총 2381건 가운데 가정폭력이 107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성폭력(590건) 교제 폭력(290건) 스토킹 (214건) 디지털성범죄(184건) 성매매(29건)가 뒤를 이었다.
도내 여성 1인 가구는 2021년 4만3877가구에서 2022년 4만5868가구로 4.5% 증가했다.
이은영 제주도 성평등여성정책관은 “여성폭력의 양상이 다변화하고 있다”며 “여성폭력 예방과 피해자 지원 정책을 촘촘히 실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