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이 헌법에서 통일 원칙을 폐기하고 한국을 ‘적대적 교전국’으로 규정한 가운데 중국이 “조선(북한)-한국 관계 개선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북한의 대남 정책 변화에 대한 중국 매체의 질문에 “우리는 관련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조선의 관련 정책 선언은 조선의 주권 사항이고, 중국은 일관되게 조선과 한국의 관계 개선을 지지하고 있다”며 “조선반도(한반도) 형세가 오늘에 이른 데는 원인이 있는데, 반도 형세의 긴장은 관련 각 당사자의 공동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왕 대변인은 “각 당사자는 응당 마주 보고 정치적 해결이라는 큰 방향을 견지하며, 반도의 평화·안정을 함께 수호해야 한다”고도 밝혔다.
앞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12월 26일~30일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9차 전원회의에서 “대한민국 것들과는 그 언제 가도 통일이 성사될 수 없다”며 “북남관계는 더이상 동족 관계, 동질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관계,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됐다”고 선포한 바 있다. 이후 북한은 최선희 외무상 주도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민족경제협력국·금강산국제관광국·6·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등 여러 대남 기구를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15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0차 회의에서도 ‘통일 폐기’를 헌법에 명기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그간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대화와 협상으로 평화와 안정을 지켜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피력해 왔다.
박종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