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에서 아버지 만나 펑펑 울어”…6·25 참전용사, 73년 만에 귀환

입력 2024-02-02 11:10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오른쪽)이 지난 1일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고(故) 김종기 이등중사 유가족의 자택을 찾아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를 실시하고, 유가족(딸 김무순씨)에게 '호국의 얼 함'을 전달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살의 나이에 아내와 외동딸을 뒤로하고 전투에 나선 6·25 참전 용사의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 품에 안겼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21년 6월 강원도 철원군 마현리 일대에서 발굴된 전사자 유해의 신원이 국군 2사단 소속 고(故) 김종기 이등중사(현 계급 병장)로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국유단은 지역주민과 참전용사의 증언들을 토대로 6·25전쟁 당시 중공군과 공방전을 펼쳤던 강원 철원군 적근산 일대 전투현장에서 유해를 발굴하던 중 고인의 오른쪽 정강이뼈를 수습했고, 유전자를 정밀 대조해 가족관계를 최종 확인했다.

국유단은 고인의 병적자료를 토대로 본적지를 경상북도 청도군으로 확인한 후 해당 지역의 제적등본 기록과 비교했다. 국유단은 앞선 2016년 고인의 딸 김무순(73)씨의 유전자 시료를 미리 채취해 둔 상태였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021년 6월 강원도 철원군 마현리 일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국군 2사단 소속 고(故) 김종기 이등중사(현 계급 병장)으로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사진은 김종기 이등중사의 유해. 뉴시스

1924년 2월 경북 청도군에서 4남 4녀 중 셋째로 태어난 고인은 1950년 9월 대구에 있는 제 1훈련소에 자진 입대했다. 여러 전투에서 사투를 벌이던 고인은 1951년 9월 2일 ‘734고지 전투’에서 북한군에 맞서 싸우다 28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딸 김씨는 “국유단에서 연락이 오기 전날 꿈에서 아버지를 만나 펑펑 울었다”며 “귀신한테 홀린 듯 놀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머니가 한평생 아버지만 그리워하다 돌아가셨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두 분을 합장해서 꿈에 그리던 해후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고인의 유해를 전달하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지난 1일 부산시 사하구에 있는 유가족 자택에서 열렸다. 이로써 2000년 4월 6·25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이 시작된 이래 신원이 확인된 국군 전사자는 총 227명으로 늘었다.

6·25 전사자 유가족은 전사자의 8촌까지 유전자 시료 채취로 신원 확인에 참여할 수 있다. 제공한 유전자 정보로 전사자 신원이 확인되면 포상금 1000만원이 지급된다. 관련 내용은 국유단 대표 전화(1577-5625)로 문의하면 된다.

최승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