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양지’ 쏠린 尹정부 인사들…낮은 尹 수도권 지지율 탓?

입력 2024-02-01 17:56

오는 4월 총선에 출마하는 윤석열정부 대통령실과 장·차관 출신 인사들이 보수 텃밭인 영남 지역에 대거 예비후보로 등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험지보다는 당내 경선만 통과하면 당선 가능성이 큰 양지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집권 3년차에 치러지는 이번 총선은 중간평가 성격이 큰 만큼 윤 대통령의 저조한 수도권 지지율이 주된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1일 기준 영남권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대통령실 참모, 장·차관 출신 인사는 21명으로 집계됐다. 경북 10명, 부산 8명, 대구 2명, 경남 1명 순이다. 예비후보 등록 기한(3월 20일)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 있어 앞으로 숫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국민의힘 현역 의원과의 치열한 공천 경쟁이 예상되는 지역은 경북이다. 경북에는 임종득 전 국가안보실 제2차장(영주·영양·봉화·울진), 허성우 전 국민제안비서관(구미을) 등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장·차관 출신 중에서는 한창섭 전 행정안전부 차관(상주·문경), 김오진 전 국토교통부 1차관(김천) 등이 출사표를 던졌다.

부산에는 대통령실·정부 출신 7명이 예비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꼽히는 검사 출신 주진우 전 법률비서관은 하태경 의원이 현역으로 있는 부산 해운대갑에 출마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탈당 후 불출마를 선언한 황보승희 의원의 지역구(부산 중·영도)에는 박성근 전 총리비서실장과 조승환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들이 당 안팎의 따가운 시선에도 텃밭으로 몰리는 이유로 30% 초반대에 갇혀 있는 윤 대통령의 수도권 지지율이 거론된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통령 지지율이 높다면 수도권이든 험지든 가리지 않고 출마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 공천’ 원칙을 앞세운 국민의힘은 대부분 지역에서 경선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며 “현역보다 지역구 관리가 안 돼 있는 ‘용산 인사’들에게는 당혹스런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