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은 콘텐츠 소비에 하루 3시간을 소비하고, 한 달에 4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미혼여성이 콘텐츠 소비에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1일 발표한 ‘한국인의 시간과 돈, 어느 콘텐츠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콘텐츠 소비에 쓰는 평균 시간은 1주일에 21.34시간으로 하루에 3.05시간 꼴이었다. 콘텐츠 소비 시간 점유율은 ‘유튜브’가 30.28%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로는 ‘OTT’(21.34%), ‘TV’(18.59%), ‘음악 콘텐츠’(12.87%), ‘게임’(7.89%) 순이었다. ‘도서’는 1.73%로 ‘웹툰·웹소설’(6.75%)보다 낮았다.
콘텐츠 소비에 지출한 비용은 월 평균 3만9673원이었으며, 이 중 25.7%가 OTT에 사용됐다. 이어 도서(12.70%), TV(11.12%), 게임(10.71)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이번 보고서는 전국 만 20~64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지난해 12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인구 집단별로 보면, 60세 이상 실버세대의 콘텐츠 소비 시간은 평균보다 2.86시간 적은 주 20.48시간으로, 콘텐츠 지출 비용은 평균보다 8363원 적은 월 3만1310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혼여성의 콘텐츠 소비는 시간과 비용 모두 최고 수준이었다. 소비 시간은 평균보다 2.60시간 많은 주 25.94시간, 지출액은 평균보다 1만원 이상 많은 월 5만23원이었다.
1인가구의 콘텐츠 소비 시간·비용도 평균보다 다소 높게 조사됐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