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는 소규모로 주택이 밀집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의 새로운 정비모델로 ‘미래타운’ 사업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미래타운 사업은 10만㎡ 이내의 지역을 통합해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대단지 아파트처럼 체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다.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모아타운’과 같은 개념이다.
미래타운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으로 노후도 50% 이상, 면적 10만㎡ 이내 지역으로 지정한다. 또한 정비 기반시설 조성비로 최대 150억원의 국비 지원이 가능하다.
미래타운 내에서의 개별 사업은 소규모주택 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사업, 소규모재건축, 소규모재개발, 자율주택정비사업)으로 추진되며 일반 재개발·재건축에 비해 절차가 간소해 추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재개발 등 대규모 정비사업이 정비계획부터 사업 완료까지 10~20년 이상 걸리지만,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은 정비계획 수립, 추진위 승인, 관리처분계획인가 절차가 생략돼 5~7년이면 사업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재개발이 어려운 저층 주거지를 중규모 아파트 단지로 정비하는 미래타운은 저층 주거지의 지난한 개발을 대신하는 새로운 정비모델이 될 것”이라며 “특히 기존 재개발 사업에서 20~30% 수준이었던 원주민 재정착률도 70%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는 2022년 소규모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용역을 통해 일산, 원당, 능곡, 행신, 고양, 관산동 일대의 9개 후보지를 선정했다.
미래타운의 첫 출발지인 행신동 연세빌라 일대의 경우 인근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십수년 만에 추진되는 등 기존의 방식으로는 정비가 지지부진했던 지역이다.
미래타운 지정으로 1단계씩 종 상향이 가능해지고, 통합단위의 계획을 통해 가람초등학교로 가는 통학로와 내부 도로 폭이 확장돼 인도 조성과 공원 통합 지하주차장 등 기반시설이 확충된다.
시는 미래타운 조성을 위해 지난해 8월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바 있다. 올해 1월 31일 경기도 승인 신청 전 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을 통과하면서 시민과 전문가로부터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지지를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고양시의 미래타운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경기도 심의를 거쳐 빠르면 4월 중에 지정·고시되는 것을 목표로 열의를 가지고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최초로 미래타운 관리계획 수립지침을 올해 상반기 중 마련할 것”이라며 “고양시 두 번째 미래타운인 일산동 미래타운을 비롯한 9개 후보지의 관리계획 수립의 기초로 삼을 계획이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