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전시의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의 수혜 범위가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시는 올해부터 통합돌봄사업의 수혜 범위를 넓히고 서비스를 고도화한다고 31일 밝혔다.
먼저 그동안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에만 지원됐던 서비스가 80% 이상 전 시민으로 확대된다. 시 재정 여건을 고려해 기준 중위소득 81~120% 이하는 본인 부담 50%, 120% 초과자는 전액 자부담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노인·장애인의 비대면 돌봄서비스 확대를 위해 기존 500대였던 인공지능 돌봄로봇은 1000대로 늘린다. 가정방문 진료 및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 의료 지원센터와 재택의료센터를 설치하고, 의료진이 집으로 찾아가는 방문 건강진료 서비스도 전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지역사회통합돌봄 서비스 지원 인원은 누적 3만8915명(공공 1만8000명, 민간연계 2만915명)으로, 당초 목표였던 2만5000명 대비 155.7%를 기록했다.
시는 동·구 지역케어회의도 총 3205회 개최하며 개인 맞춤형 돌봄계획을 수립했다. 여기에 요양돌봄·영양급식 등을 제공하기 위한 재가복지센터 등 36개 민간 제공기관을 선정했으며 468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했다.
지역사회통합돌봄이 필요한 시민이나 주위에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있을 경우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나 가까운 복지관에서 신청할 수 있다. 수혜자는 담당자의 현장 방문, 지역케어회의를 통해 지원 여부를 판단 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요 서비스 내용은 일시 재가 및 영양급식 등을 지원하는 5대 기본돌봄서비스, 인공지능 돌봄로봇 등 비대면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돌봄, 자택으로 찾아가는 방문 건강 의료 서비스 등이다.
민·관협력 돌봄 사업으로는 밑반찬 지원과 안전용품 설치 등의 일상생활 지원, 치매 예방 미술치료 사업 등이 있다.
민동희 대전시 복지국장은 “지난해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애써주신 돌봄 종사자 등 관계자들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돌봄이 필요한 분들이 지역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불편이 없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