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전~세종~청주를 잇는 충청권 광역철도를 민간 자본이 투입되는 광역급행철도(CTX)로 추진한다.
충북도는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는 이 사업이 민간제안사업으로 변경되면서 사업비와 사업기간의 단축을 기대하고 있다.
CTX 사업은 민간이 사업비의 50% 이상 부담하고 운영비를 100% 부담하게 된다. 이 경우 충북도 사업비 부담분은 기존 6400억원에서 2700억원으로 3700억원이 절감된다. 연간 280여억원의 운영비도 민간사업자가 전액 부담하게 된다.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때 16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사업 기간이 예비타당성 조사와 설계 등 행정절차 간소화에 따라 5년 정도 단축돼 2029년 착공해 2034년 개통한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노선은 대전 출발지가 기존 반석역에서 대전정부청사로 변경돼 총연장은 기존 60.8㎞에서 67.8㎞로 연장된다. 차량은 당초 계획된 최고 시속 110㎞의 전동차에서 최고 180㎞의 GTX급 급행열차로 개선된다. 사업비는 4조2000억원에서 4조5000억으로 늘었다.
KTX 오송역에서 충북도청까지 이동시간은 기존 17분에서 13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세종청사~충북도청 35분→31분, 대전청사~청주공항 86분(환승 1회)→53분 등 교통체계 개선이 기대된다.
도는 인구 270만명의 충청권 단일 30분 생활경제권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거점지역 연계에 따라 규모의 경제로 수도권에 대응하는 충청권 메가시티의 조기 안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대전청사~세종정부청사~충북도청~청주공항 등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CTX 노선은 기존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청 등 청주도심 통과 구간의 경우 지하철과 같이 운영하고 외곽 구간에서 속도를 내는 방식으로 속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명규 충북도경제부지사는 29일 “지난해 9월 민간사업자가 사업의향서를 제출했고 오는 4월 민자 적격성 조사가 실시될 예정”이라며 “청주 도심을 통과하는 기존 노선에도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