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 도입을 앞둔 자동 스트라이크·볼 판정 시스템(ABS)하에서 스트라이크존이 좌우 2㎝씩 넓어진다. 맨눈으로 판정할 때보다 존이 좁다는 지적에 따른 보완 조처다. 피치클락은 18초가 기본 간격으로 설정됐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5일 ABS와 피치클락의 세부 운영 규정을 발표했다. 두 안건 모두 전날 열린 1차 실행위원회에서 논의, 확정됐다.
ABS와 관해선 좌우 스트라이크존을 확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론 홈플레이트 양옆으로 2㎝씩 도합 4㎝ 늘렸다. 새 규정을 그대로 적용할 시 종전보다 볼넷이 폭증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했다. KBO는 “심판과 선수단이 인식하는 기존 스트라이크 존과 최대한 유사한 존을 구현하기 위한 조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메이저리그 사무국도 마이너리그에서 ABS를 운영하면서 스트라이크존을 양옆으로 2.5㎝씩 넓혔다.
상·하단 경계선은 타자의 키에 따라 달라지도록 비율로 설정했다. 지면을 기준으로 신장의 27.64% 지점부터 56.35% 지점까지를 스트라이크 존으로 잡았다. 심판진이 판정했던 기존 스트라이크존을 평균 내 이 같은 수치를 도출했다.
전반기 시범 적용될 피치클락 관련 세부 규정도 함께 정해졌다. 가장 중요한 투수의 투구 시간은 루상에 주자가 없을 경우 18초로 제한키로 했다. 주자가 있을 땐 5초 더 긴 23초 이내에 투구해야 한다. 기존엔 주자 유무에 따른 편차가 훨씬 컸다. 주자가 없을 땐 공을 넘겨받은 뒤 12초 이내에 투구해야 했지만 주자가 나가면 별도의 시간제한이 없었다.
피치클락을 신경 써야 하는 건 투수만이 아니다. 포수는 피치클락의 잔여 시간이 9초로 줄기 전에 포수석에 자리해야 한다. 타자는 8초 남았을 때까지 타격 준비를 마쳐야 한다.
타임 요청도 제한된다. 피치클락의 압박을 회피할 수단으로 쓰일 수 있어서다. 타자는 타석당 한 번씩만 타임을 부를 수 있다. 투수는 타석 당 최대 세 번까지 투구판을 벗어날 수 있다. 견제 시도 및 견제 동작, 발 풀기를 모두 합쳐 3회를 넘길 수 없다. 수비팀이 타임을 부르거나 투수가 공을 바꿔 달라고 하는 행위, 포수가 포수석을 벗어나는 행위도 모두 ‘투구판 이탈’로 간주한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