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우 “고양시 덕이동 데이터센터 직권취소 해야”

입력 2024-01-24 00:00
이용우(오른쪽 세 번째) 의원이 지난 15일 고양시 덕이동 데이터센터 예정부지 앞에서 민주당 소속 김운남(오른쪽 두 번째) 고양시의원 등 시·도의원과 설치 반대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이용우 의원실 제공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3일 고양시 덕이동 데이터센터 허가를 직권취소하지 않으면 향후 지역 기업유치에도 제동이 걸릴 우려가 있다며 고양시장의 직권 취소를 촉구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현재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가구단지 사거리, 탄현동과 덕이동 인근에는 데이터센터 건축을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이 의원은 “해당 부지는 탄현 큰마을 아파트와 40m, 덕이동 하이파크시티와 320m, 탄현 쌍용아파트와 400m가량 떨어진 주거 밀집지역 인근으로,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고양시는 주민설명회 한번 없이 사업을 추진했다. 이는 밀실 행정이다”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2022~2023년 고양시 데이터센터 전기사용신청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덕이동 데이터센터 사업자는 2022년 한전에 2만㎾의 전력계약에 대한 전기사용 신청을 했으며 공급 가능 통보를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일산동구에 3개의 데이터센터 사업자가 8만㎾를 신청해 공급방안 가능 통보를 받았으며, 일산서구에 1개의 데이터센터 사업자가 6만㎾를 신청해 공급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현재 일산에는 일산테크노밸리, CJ라이브시티, 킨텍스 등 기업유치를 위한 다양한 개발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며 “향후 기반시설 완공 시 전력공급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최근 전력 다소비 시설인 데이터센터가 지역의 한정된 전력공급 인프라를 선점해 전력공급능력 부족을 야기한다는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향후 고양시 내 데이터센터 건립이 계속해서 허가된다면 이들의 전력 선점으로 정작 전력을 사용해야 할 기업들이 이를 사용하지 못하고 지역의 기업유치는 늦어질 수밖에 없다”며 “한전은 6월부터 ‘전력계통 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해 전기공급 거부권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현재까지 허가된 사업에 대해서는 이를 취소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고양시의 덕이동 데이터센터 허가 직권취소가 아니라면 우리 지역에 시급한 기업유치에도 제동이 걸릴 우려가 크다”며 “고양시장이 오히려 기업유치를 가로막고 있다. 고양시장의 조속한 직권취소 결정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