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지난해 가축방역 성과 이어 더 촘촘한 방역체계 구축

입력 2024-01-23 10:37
경남도 가축방역 전문가(수의사)가 한우 농가에서 전염병 예방 접종을 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해마다 반복되는 재난형 가축전염병 발생 차단을 위해 시기별 발생 가능성을 분석해 방역예산 605억원을 선제적으로 투입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또 거점 소독시설, 공동방제단 등 방역시스템을 상시 운영하고, 축산 방역 시설 개선과 방역 교육을 강화해 한층 더 촘촘한 방역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먼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전염병 발생 제로를 위해 가축사육 제한과 질병 관리 8억원, 소규모 농가 소독지원 공동방제단 48억원, 살처분 보상금 63억원, 축산차량 무선 인식 장치와 통신료 지원 11억원 등 17개 사업에 177억원을 투입한다.

또 가축전염병 사전 예방과 재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예방 약품 88억원, 럼피스킨 백신접종 12억원, 소 브루셀라·결핵병 채혈 보정비 24억원, 통제초소 운영 27억원, 가축 질병 치료보험 12억원, 공수의 방역 활동 15억원 등 19개 사업에 194억원을 투입한다.

축산농장 주도의 책임방역 기반 조성을 위해 폐쇄회로 TV 등 방역시스템 설치 지원 17억원, 구제역 방어력 확보 예방접종 지원 101억원, 야생동물 기피제 지원 4억원, 소독시설 설치 지원 8억원 등 15개 사업 138억원을 지원한다.

동물위생시험소에도 소 브루셀라병·결핵병 등 인수공통전염병 검진사업, AI·구제역 등 가축 질병 혈청검사와 병성감정, 생물 안전 실험시설 유지보수, 꿀벌 질병 모니터링 검사 등 11개 사업에 56억원을 배정한다.

이와 함께 축산물 경쟁력 강화와 축산식품 안전성 제고를 위해 축산물 이력관리 지원 9억원, 계란 공판장 활성화 지원 10억원, 축산물판매업소 위생시설 개선 지원 3억원, 축산물 수출촉진 1억원 등 11개 사업에 4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전남·북 등에서 발생하고 있는 AI 재발 방지를 위해 가금농가에 가축 사육제한을 하고, 가금농가에 야생조류 퇴치 장비 설치를 지원하며 가축방역 전문가 부족으로 인한 가축방역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민간 시료 채취 전담관 운영지원을 신규 추진한다.

강광식 경남도 동물방역과장은 “AI·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가축전염병 차단을 위해 모든 방역역량을 동원해 가축전염병 없는 청정 경남을 사수하겠다”며 “축종별 검사를 통한 발생 위험도를 분석해 적절한 시기에 예산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해 지자체 최초로 가축방역 분야와 축산물 위생 분야에서 모두 ‘최우수 기관’(1등)에 선정됐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