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상공회의소 회장 선거 시끌…또다시 돈 선거 되나

입력 2024-01-23 00:51 수정 2024-01-23 00:54
여수상공회의소 전경. 뉴시스

전남 여수상공회의소가 다음달 치러지는 제25대 회장 선거를 앞두고 금권선거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금권을 동원한 추가 회원 모집과 추가 회비 납부를 통한 투표권 확보로 회장 선거에서 특정인을 밀어주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여수상의는 지난 2021년 제24대 의원(대의원) 선거에서도 수억원대의 금권선거 논란을 빚었다.

22일 여수상의 등에 따르면 여수상의 회장 선거권을 가진 의원 선거단은 총 40여명으로 구성된다. 여수상의 정책과 운영 전반을 책임진다.

여수산단 공장장협의회 회원사들은 매출액에 따라 이뤄지는 투표권 배분 규정에 따라 각종 투표권의 80% 이상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의원단 선거에서 그동안 지역 상공인들에게 의원수 절반을 양보했다. 지역 및 직능 안배 차원에서 상생의 길을 마련한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당시 24대 선거에서는 여수산단 공장장협의회와 지역 상공인 간 의원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 선거가 치러졌다. 이에 따라 여수산단공장장협의회 회원사들이 의원단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기형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이로 인해 의원으로 선출되기 어려워진 지역 상공인들이 반발하면서 10억여 원의 추가 회비를 내고 투표권을 대거 확보했다. 여수상의 정관에 따르면 1500만원에 최대 30표를 주는 추가 회비 납부 규정이 있다. 이를 활용해 대놓고 금권선거를 한 것이다.

투표권을 돈으로 산 뒤 의원단에 입성한 지역 상공인들은 전체 의원 가운데 26명의 자리를 꿰찼다. 여수산단 공장장협의회는 의원 9명의 자리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5명의 의원 자리는 지역농협과 수협이 차지했다.

다음달 23일 치러지는 25대 의원 선거는 현재 산단과 지역 상공인 간 의석수 배분 합의가 아직도 이뤄지지 않았다.

선거의 폐단을 막기 위해 여수상의는 지난 9월부터 5차례에 걸쳐 ‘선거 규정 개정’을 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회원 대다수가 돈 선거를 막기 위해서 추가 회원 모집과 추가 회비 납부 제한이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였다.

하지만 최근 일부 회원 사이에서 추가 회원 모집 및 추가 회비 납부를 양성화해 투표권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또다시 금권선거 양상으로 치달을 공산이 크다.

이에 따라 여수상의가 당초 안배 차원의 의원수 배분과 추가 회비 납부 금지 등의 합의를 하루 빨리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여수상의는 2021년 3월 제24대 회장 선거를 앞두고 추가 회비 납부에 따른 대규모 신규 회원 투표권 행사로 연 수천만~1억원대 이상의 회비를 냈던 대기업의 투표권이 유명무실해지면서 특정 회장 후보를 밀어주기 위한 표로 분석되며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당시 연 1억5000만원의 회비를 납부한 한 대기업이 의원 선거에서 낙선하며 논란을 키우기도 했다.

여수상의 한 관계자는 “추가 회비 납부로 투표권을 가지려고 하는 것은 평소 회비를 성실하게 납부한 회원들의 권리를 뺏는 것 뿐만 아니라 또다시 금권선거의 오명을 쓰게 될 것이다”고 질타했다.

여수=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