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싱들이 꼽은 ‘재혼할 결심’… 男 “집밥” 女 “이사”

입력 2024-01-22 11:23 수정 2024-01-22 12:54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결혼생활 실패 경험이 있는 ‘돌싱’(돌아온 싱글)들은 평소 재혼 생각이 없다가도 특정 상황에 놓이면 재혼 의지를 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성은 ‘집밥을 먹지 못하는 처지를 자각할 때’, 여성은 ‘이사 등 대소사를 맞닥뜨릴 때’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재혼정보업체 온리-유는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와 공동으로 실시한 ‘일상생활에서 재혼을 다짐하게 되는 상황’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15~20일 전국 재혼 희망 돌싱남녀 518명(남녀 각 259명)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전화통화 등을 통해 실시됐다.

‘어떨 때 재혼을 다짐하게 되느냐’는 물음에 남성 응답자 중 28.2%는 ‘삼시세끼 식당신세’, 여성 응답자 중 32.4%는 ‘이사 등 대소사’라고 답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남성은 이어 ‘독박 가사’(23.5%), ‘이성 자녀 교육’(19.3%), ‘식당에서 1인분이 안될 때’(14.7%) 등으로 답했다. 여성은 ‘노부모의 외톨이 걱정’(23.6%), ‘독박 가사’(18.5), ‘이성 자녀 교육’(12.4%)을 꼽았다.

‘재혼이 생각만큼 쉽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남성의 경우 ‘상대의 비현실적 재혼관’(33.2%)이라는 답변이, 여성은 ‘공감 능력 부족’(35.1%)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다.

남성은 그 뒤로 ‘재혼 의지 부족’(27.4%)과 ‘과도한 자기애’(17.3%) 등이라 답했고, 여성은 ‘여성에 대한 이해 부족’(26.3%)과 ‘재혼 의지 부족’(18.1%), ‘비현실적 재혼관’(14.3%)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지난달 같은 업체가 돌싱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남성은 상대가 ‘오마카세’를, 여성은 상대가 ‘집밥’을 말할 때 호감이 떨어진다고 답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순기능으로 작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고, 역기능을 일으키면 재앙이 될 수 있다”며 “이런 점을 고려해 결혼 혹은 재혼에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