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북한이 지난 19일 “수중 핵무기 체계를 시험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핵추진 체계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과장되고 조작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고 21일 밝혔다.
대통령실은 북한이 지난 19일 “핵 무인 수중공격정 ‘해일-5-23’의 중요 시험을 동해 수역에서 진행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이같이 밝혔다. 대통령실은 “북한이 사진자료를 공개하지 않아 진위 여부 확인이 제한된 상황”이라면서도 “만약 시험했다면 일종의 어뢰로 추정되는데, 핵추진 체계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실은 “직경 1m 이하의 어뢰에 들어갈 만한 소형 원자로 개발사례는 전무하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의 5대 핵심 과업 중 하나로 ‘수중 발사 핵전략무기 보유’ 목표를 내건 데 따라 수중무기체계 개발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수중 폭발 뒤 방사능 해일을 일으킬 수 있는 ‘핵어뢰’ 무기체계를 갖췄다고 북한은 주장한다. 북한은 지난해에는 총 3차례 핵 무인 수중공격정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관영 매체를 통해 밝혔다.
대통령실은 “북한 주장의 진위를 떠나 우리 군은 한미 연합 정보감시정찰(ISR)을 활용해 북한의 핵어뢰,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수중무기체계 개발 동향을 지속 추적 감시 중”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우리 군은 이미 유사시 해당 무기체계의 발진기지에 대한 압도적 타격 능력을 보유 중으로, 대잠전력 및 항만 방호태세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북한이 지난 14일 고체연료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를 주장한 데 대해서도 “우리 군은 연합 ISR 자산 및 미사일 방어체계를 기반으로 북한이 보유한 어떠한 미사일도 탐지,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날로 고도화되는 북 미사일 능력 대응을 위해 복합다층방어체계 구축을 가속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