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김포시와 인천시 간 갈등을 빚어온 ‘서울지하철 5호선 연장’ 관련 노선안 결정을 두고 국토교통부가 사실상 김포시의 손을 들어줬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김포 7곳과 인천 2곳에 역사를 설치하는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 노선안을 발표했다.
중재 노선안은 서울 1곳, 김포 7곳, 인천 서구 2곳(102·101) 등 총 10개 역사를 설치하는 계획이다. 이중 김포에 3곳, 인천에는 2곳에서 타 노선과 환승할 수 있게 했다.
그간 인천시는 서구 4개 역사(102·원당·101·불로) 설치를 주장하고, 김포시는 2개 역사(102·불로) 설치 주장을 고려하면 사실상 김포시안으로 결론이 났다.
특히 정부는 김포시가 5호선 연장을 위해 수용한 바 있는 서울 강서구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장의 김포 이전 조성에 대해서도 인천시와 김포시가 ‘공동 책임’으로 추진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당초 5호선 연장사업은 인천시와 김포시 모두 ‘건폐장 수용 절대 불가’ 방침을 고수하며 지지부진했지만 민선 8기 김병수 김포시장이 건폐장 이전을 받아들이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에 대해 대광위는 김포시가 단독으로 책임지기로 했던 건폐장을 인천과 김포의 공동 책임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해 두 지자체가 건폐장 부지 제공 등 역할 분담 비율을 확정해야 한다고 명시한 것이다.
이에 대해 김포시는 김포의 최대 난제로 꼽혔던 5호선 김포 연장이 드디어 해결점을 바라보게 됐다는 입장이다.
김포시는 향후 예타면제 등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이 신속 추진될 수 있도록 더욱 발 빠르게 움직이겠다는 계획이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5호선 김포연장 노선 조정안이 나왔다. 지금까지처럼 앞으로도 김포시민의 안전과 삶의 질 개선만 생각하며 5호선 김포연장 사업에 총력을 기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김포=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