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가짜 민생 말고, 재탕 삼탕 말고, 진짜 민생 얘기를 하기 바란다”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투자유치와 국제협력을 위해 해외 순방 중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 참가 중인 김 지사는 현지 시각 17일 밤 11시 30분(한국 시각 18일 오전 7시 30분) 다보스 현지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라이브방송3’를 통해 “대통령이 경기도에 와서 관심 가져주는 것 환영하고, 반도체 클러스터를 경기도와 같이하는 것 좋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수원 성균관대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경기 남부를 관통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 중”이라며 “일단 일차적으로 약 622조원 규모의 투자를 예상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지사가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김 지사는 “(윤 대통령이) 62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하는데, 이게 자그마치 2047년까지다. 앞으로 23~4년 뒤 얘기까지 포함된 것이고, 과거 전 정부에서 했던 투자까지 다 합쳐서, 삼성과 SK하이닉스 투자를 다 합쳐서 발표한 것”이라고 지적하며 “왜 기업이 이미 했던 것, 앞으로 20년 동안 하는 것을 합쳐서 재탕, 삼탕 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국민들 호도한다는 생각을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윤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원전은 핵심이다. 탈원전을 하면 반도체뿐만 아니라 첨단산업도 포기해야 한다. 반도체 파운드리 라인을 하나 구축하는 데 1.3GW(기가와트)의 원전 1기가 필요하다”는 말에 대해 더욱 발끈했다.
김 지사는 “반도체 라인 증설 얘기를 하면서 원전의 필요를 얘기했다”면서 “원전은 ‘RE100’의 신재생에너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말 세계 트렌드나 이 부분의 내용을 잘 모르는 무식한 얘기”라고까지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앞으로 몇 년 안에 RE100을 달성하지 못하면 반도체를 포함한 우리 수출 품목들의 수출길이 막힌다”면서 “대한민국이 RE100을 하지 않고 신재생에너지 (정책은) 거꾸로 가면서 수출길 막히는 건 어떻게 하려는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김 지사는 윤 대통령의 정치적 행보 문제를 지적하면서는 “김포, 서울 편입, 공매도 금지, 소위 민생토론을 통해 소수 대기업에만 영향을 주는 감세안 발표, 재건축 완화 등 전부 선심성 정책을 하면서 정치적 행보로서 총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받고 있다”고 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