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특별한 명칭 없이 불려온 제주4·3사건에 대해 도민들은 ‘4·3사건’을 올바른 이름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는 지난해 10월 28일부터 11월 11일까지 제주도민 308명, 청소년 110명, 유족 100명 등 모두 5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주4·3 정명 도민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도민 중 가장 많은 28.9%(89명), 청소년의 49.1%(54명), 유족의 29.0%(29명)가 ‘4·3사건’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양민학살(도민 24.0%·청소년 16.4%·유족 26%), 항쟁(도민 19.8%·청소년 14.5%·유족 26%)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2018년 제주4·3평화재단이 실시한 인식조사에서 1순위로 ‘양민학살’이라는 응답이 나왔던 것과 다소 달라진 결과다.
한권 4·3특별위원장은 이번 인식조사에서 올바른 이름으로 ‘4·3사건’이 가장 많은 응답을 보인 데 대해 “4·3특별법 상의 정의가 ‘사건’인 점, 그리고 객관적 사실을 중심으로 가치중립적인 4·3교육이 학교를 중심으로 추진된 점에 기인한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 4·3특별법은 4·3을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4·3은 발생 원인과 전개 양상 등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남한 단독선거를 저지하기 위해 저항한 항쟁이나 봉기, 사태, 폭동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 왔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4·3의 발생과 사태 확산의 책임을 묻는 질문에 도민 29.5%(91명), 청소년 46.4%(51명), 유족 39.0%(39명)가 가장 큰 책임자로 ‘이승만 정부’를 지목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