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비취색 하천 오염물질, 지하수 확산 안된 듯”

입력 2024-01-16 17:22
경기도 평택 청북읍 관리천이 지난 11일 인근 화성의 한 위험물질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 이후 유해 물질 유입으로 오염돼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평택시가 비취색으로 변한 하천의 오염물질과 관련 “주변 지하수 채수 지점 22곳으로 확산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지난 15일 오염 하천 주변 200m 이내에서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사용 중인 22곳을 대상으로 수소이온농도(pH)를 검사했다. 검사에서 pH 농도는 최저 6.39ppm에서 최대 8.03ppm으로 나타났다. 농업용수 pH 농도 기준은 6.0~8.5ppm이다.

시 관계자는 “오염수의 주요 물질인 에틸렌다이아민은 강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확산했다면 약알칼리성 범주에 드는 pH 농도가 나올 수가 없다. 이를 근거로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확산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오는 18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지하수 수질 정밀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살수차를 이용해 지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는 농가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하천 오염은 지난 9일 밤 10시쯤 평택 인근인 경기도 화성 양감면 위험물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를 계기로 발생했다. 불은 8시간여 만인 10일 오전 6시쯤 잡혔고,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창고 내부에 있던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이 인근 소하천으로 흘러들었다. 이로 인해 경기도 남부를 흐르는 국가하천인 진위천 합류부 직전까지 7.4㎞ 구간이 비취색으로 오염됐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