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총 1조 4097억원 규모(신규과제 4584억원)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2024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을 통합공고한다고 16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 R&D 사업은 올해 대규모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딥테크 분야에서 민간연계 R&D투자를 대폭 확대했다. 전략기술분야와 글로벌 진출‧협력에 대한 지원도 강화했다.
벤처기업청은 선정 방식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높이고, 과도한 중복(다수) 지원을 사전에 방지하는 등 지원체계를 보다 전략적이고 혁신적으로 개편했다고 설명했다.
2024년 기술개발 지원사업은 민간 선별 능력을 활용하는 등 민간중심 R&D에 1686억원을 지원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신산업 분야 스타트업과 테크기반 혁신기업이 VC 등 민간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투자 받을 경우 정부가 후속 지원하는 민간투자 연계 방식 R&D를 대폭 확대한다.
아울러 제품개발에 그치지 않고 신속한 양산으로 매출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대규모 자금을 융자 방식으로 지원해 효율성을 높인다. 과제 성공 이후 융자금을 회수해 우수 과제에 재투자하는 융자연계형 R&D도 추진한다.
전략기술 분야 R&D에 621억원을 지원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를 위해 ‘12대 국가전략기술’과 연계해 AI, 자율주행, 항공·우주 등 파급효과가 큰 미래혁신 선도기술을 지원하는 별도 트랙을 신설한다.
소부장 전략기술의 국산화, 글로벌 밸류체인(GVC) 선제적 대응 등을 위해 창업기업부터 스케일업(Scale-Up) 할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이밖에 혁신기업 글로벌 진출‧협력 R&D에는 267억원을 지원한다.
해외인증, 수출실적 등 글로벌 진출역량을 보유한 혁신기업의 미래기술 선도를 위해 R&D 지원을 확대한다. 동일 목표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개발하는 ‘경쟁형R&D’ 방식을 새롭게 도입해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도록 한다.
창업 시점부터 세계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전용 R&D 사업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의 글로벌 Scale-Up을 위한 글로벌 R&D 협력 거점도 조성한다.
김우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올해는 중소기업 R&D 사업이 대대적 구조 개편과 제도혁신이 동시에 이뤄지는 만큼 중소기업 R&D가 새롭게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과감한 R&D 혁신으로 ‘정부의 투자 효율성’과 ‘기업의 혁신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