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27.5% ‘안전진단 없는 재건축’ 대상

입력 2024-01-14 11:26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아파트 단지 이미지.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가 지어진 지 30년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 10일 준공 뒤 30년이 지난 아파트에 대해 안전진단을 생략하고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재건축 패스트트랙’를 내놓은 바 있다. 서울에서 노원·도봉구 아파트의 60% 가까이가 준공 30년을 넘긴 사례에 해당한다.

14일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1232만가구 중 2024년 1월 기준 준공된 지 30년을 넘어선 단지의 아파트는 262만구가구로 전체의 2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후 30년을 넘긴 단지는 서울(50만3000가구), 경기(52만2000가구), 인천(19만9000가구) 등 수도권에 47%가 몰려있다. 특히 서울은 전체 아파트(182만7000가구)의 27.5%가 안전진단 생략 대상인 셈이다.

구체적으로 서울 노원구 아파트 16만3000가구 중 59%(9만6000가구), 도봉구 6만4000가구 중 57%(3만6000가구)가 준공 30년을 넘긴 노후 아파트에 해당됐다. 강남구는 39%(5만5000가구), 양천구는 37%(3만4000가구)였다.

경기도에선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을 적용받을 수 있는 1기 신도시 외 광명(41%·3만2000가구), 안산(34%·4만1000가구)에서 30년을 넘긴 아파트가 많았다.

준공된 지 26~30년인 아파트도 전국적으로 199만가구(16%)에 달했다. 실제로 ‘재건축 패스트트랙’이 도입된다면 앞으로 5년 내 전국 아파트의 37%에 해당하는 460만가구가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에 착수할 수 있게 된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