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노조 설립률, 中企보다 3배 높아… 교섭력도 강해”

입력 2024-01-13 09:33

대기업의 노동조합 설립 비율이 중소기업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자 30인 이상 사업체에서 의무 설치해야 하는 노사협의회도 대기업에서 더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대·중소기업 사업체의 노사관계 현황 및 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사업체패널조사에서 확인된 전체 사업체의 노동조합 설립 비율은 2021년 19.4로 집계됐다. 기존엔 2015년 18.6%, 2017년 19.5%, 2019년 19.1% 등이었다. 사업체패널조사는 한노연이 격년 마다 사업체의 고용, 인사관리, 노사관계, 기업복지, 산업재해 등을 추적·파악하는 조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노조 설립 비율을 2015년 이후 살펴보면, 대기업은 연도별로 33.7∼36.6%인 반면 중소기업은 12.2∼12.9% 수준에 그쳤다.

전체 임금 근로자 중 노조 가입 조합원의 비율을 뜻하는 노조 조직률도 2021년 기준 대기업이 25.1%, 중소기업이 12.2%이었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절반 이하였다.

전체 근로자 중 임금·단체협약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의 비중인 단체협약적용률 역시 대기업 33.7%, 중소기업 14.7%(2021년 기준)로 2배 이상 격차가 있었다.

노사협의회가 어느 정도 잘 운영됐는지에 대한 인사 담당자의 평가에서도 대기업은 3.06∼3.18점(5점 만점) 사이였고, 중소기업은 2.74∼2.85점 수준이었다. 노사협의회가 내실 있게 운영되는지 나타내는 사업주 직접 참여 횟수도 2021년 기준 대기업 3.99회, 중소기업 3.61회로 대기업이 더 많았다. 노사협의회 근로자 대표를 직접 선거로 뽑는 비중은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높았다. 회사가 지명하는 방식은 중소기업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김정우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보고서에서 “대기업에 속한 사업체에서 노동조합의 힘이나 교섭력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노사협의회 근로자대표 선출 방식도 대기업이 보다 민주적”이라고 분석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