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북한 탄도미사일로 우크라이나를 다시 공격했다고 미국 정부가 밝혔다. 미국은 이 사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기로 했다. 한·미·일을 포함한 49개국 외교장관은 북한의 대러 탄도 미사일 이전을 강력히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9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러시아가 지난 6일에도 북한산 탄도미사일 여러 발을 우크라이나에 발사했다”며 “최소 한 발은 하르키우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앞서 커비 조정관은 지난 4일에도 러시아가 지난달 30일과 지난 2일 북한산 탄도미사일로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다고 공개한 바 있다.
커비 조정관은 “북러 간 탄도미사일 이전은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미국이 오는 10일 유엔 안보리에서 북러 무기 거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커비 조정관은 “러시아가 스스로 지키겠다고 한 국제적 의무를 위반한 것에 대해 책임질 것을 요구하겠다”며 “이런 무기 거래를 계속 폭로하고, 이를 돕는 이들을 제재하겠다”고 강조했다.
커비 조정관은 또 “러시아의 미사일과 무인기 공격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은 우크라이나에 방공 무기 등 방어에 필요한 군사 장비를 지원하는 것”이라며 의회가 안보 예산안을 처리할 것을 촉구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등 49개국 외교장관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출과 러시아의 미사일 사용을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규탄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이러한 무기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가중하고, 러시아의 침략 전쟁을 지원하며,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한다”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사용하는 것은 북한에 귀중한 기술적, 군사적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공동성명은 “우리는 이번 협력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유럽 및 전 세계에 미치는 안보 영향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며 “무기 수출의 대가로 러시아가 북한에 무엇을 제공하는지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