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내에서 4월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실과 여당이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강행 처리한 이른바 ‘김건희 특검법’이 ‘총선용 악법’인 것은 맞지만, 그와 별개로 김 여사에 대한 부정 여론에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민의힘에서 퍼지고 있는 것이다.
국민의힘에서는 대통령실 제2부속실 설치나 특별감찰관 임명 등은 물론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윤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 등 김 여사 관련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김 여사와 관련해서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이나 고가 명품백 수수 의혹, 김 여사 일가의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특혜 의혹 등이 계속되고 있다.
윤재옥 원내대표가 주재한 9일 비공개 중진연석회의에서는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로 돌아온 쌍특검법 재표결 문제가 핵심 의제였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김 여사 리스크 해소 방안에 대한 의견들도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는 3선 이상 20여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김 여사 관련 여론 동향이 안 좋기 때문에 정무적으로 잘 대응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이 분출했다고 한다. 영남의 중진 의원은 “김 여사 문제를 대통령에게 기대기만 해서는 안 된다”면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정국의 해결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국민의힘 다른 영남 중진 의원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특검과는 별개로 디올백(명품백) 수수 의혹 등으로 김 여사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상당한 건 사실”이라며 “윤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사과까지는 아니더라도 (김 여사 관련 논란에) 직접 해명하면서 특별감찰관 등 후속 조치를 약속해야 여론이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일단 대통령실의 조치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윤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여사 리스크 관련 질문을 받자 “대통령 비서실의 제2부속실 설치를 비롯한 여러 조치를 당에서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참여연대 출신인 김경율 비상대책위원이 8일 공개적으로 “김 여사 리스크를 잠재울 뚜렷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밝힌 것이 신호탄이 됐다.
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합류한 이상민 의원은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사실이든 아니든, 부풀려졌든 간에 그런 것들이 나오게 된 것은 본인(김 여사)에게 문제가 있다”면서 “일정 부분 어떤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요구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