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 추진 중인 전주·남원·무주권 등 3개 지역의 광역 소각시설 설치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전북도는 무주군과 진안군이 공동으로 추진한 무주권 광역 소각시설에 이어 순창군을 포함한 남원권, 김제·완주·임실을 아우르는 전주권까지 3개 광역 소각시설이 2028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이들 사업엔 모두 4646억원(국비 50%)이 투입된다.
도는 소각시설은 혐오시설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주민들이 기피해 입지 선정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속적인 설득을 통해 주민 공감대를 형성해 3개 시설 모두 적기에 입지를 선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루 45t의 소각 규모로 지어지는 무주권 광역 소각시설은 2022년 12월 설계에 착수한 이후 설계적정성 심의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중 설계를 마무리하고 연내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주권 광역 소각시설은 현재 운영 중인 소각시설을 대체해 건립을 추진 중이다. 전주를 비롯해 김제·완주·임실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 전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루 550t 규모로 지어진다. 지난해 12월 입지선정위원회에서 현재의 소각시설 부지에 짓는 것으로 결정됐다.
오는 12일 입지결정 고시가 이루어지면 2025년 국가예산 확보를 통해 당초 목표대로 2028년까지 완공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남원시와 순창군이 함께 하는 남원권 광역 소각시설은 하루 100t 규모로 설치된다. 지난해 9월 입지결정 고시를 통해 국회심의 단계에서 설계비의 일부인 3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들 광역 소각시설이 완공될 경우 도내 모든 시‧군이 소각시설을 보유하게 된다. 2030년부터 시행되는 가연성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에 완벽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강해원 전북도 환경녹지국장은 “생활폐기물 안정적 처리기반을 차질 없이 구축해 도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소각시설이 더 이상 기피·혐오시설로 인식되지 않도록 친환경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