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은 지난 1년 동안 개고기를 먹은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먹을 의향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개 식용을 위한 사육, 도살, 판매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는 것에 대해선 10명 중 8명이 찬성한다고 답했다.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지난달 12~17일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개 식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94.5%가 지난 1년간 개고기를 먹은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또 향후 개고기를 먹을 의향을 조사한 결과 ‘없다’는 응답은 93.4%로 조사됐다. 이는 ‘2022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2022년도 조사)의 88.6%에서 4.8% 포인트 증가한 결과다.
지난 1년간 개고기를 먹은 적이 없는 응답자(94.5%·1889명)을 대상으로 이유를 물어보자 ‘정서적으로 거부감이 들어서’라는 응답 비중이 53.5%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사육, 도살 과정이 잔인해서’(18.4%) ‘생산·유통 과정이 비위생적일 것 같아서’(8.8%) ‘주변이나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 때문에’(7.1%) ‘맛이 없어서’(5.0%) ‘건강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3.9%) 등 순이었다.
개 식용을 위한 사육, 도살, 판매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는 것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법적 금지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4점 만점에 3.24점,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은 82.3%로 나타났다. 2022년도 조사에서 응답한 찬성 비율(72.8%)보다 9.5%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식용 목적의 개 사육, 도살, 판매가 법으로 금지된다면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는 ‘고통받는 개들이 줄어들 것이다’(60.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동물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개선될 것’(57.2%) ‘개 식용 관련한 사회적 갈등이 줄어들 것’(45.3%) ‘국제사회에서 국가 이미지가 개선될 것’(39.8%) ‘공중보건에 도움이 될 것’(22.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 시민들은 개를 더 이상 ‘음식’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개 식용 문제를 입법을 통해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됐다”고 말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