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의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수사력 강화를 위해 디지털포렌식 장비를 추가로 구매하고 인력도 2배가량으로 증원한다. 금융계 불공정거래 사건 수사에 더 힘이 실릴 전망이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예산안에서 정보화 사업에 편성된 액수는 108억원 규모다. 이 가운데 4억8708만원은 디지털포렌식 장비와 소프트웨어 등 도입을 위한 신규 예산이다. 대당 1억원이 넘는 디지털포렌식 장비를 여러 대 살 수 있는 자금이다. 금융 당국이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면서 예산권을 쥔 금융위가 금감원 특사경의 예산 확대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다.
금감원 특사경은 2019년 7월 출범한 이래 카카오의 SM 주식 시세조종 의혹 등 굵직한 사건마다 존재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디지털포렌식 장비 한 대에 의존하면서 수사가 수개월씩 지연되기도 했다. 디지털포렌식 담당 인력도 단 두 명에 불과했다.
디지털포렌식은 압수수색 등을 통해 입수한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 사용된다. 특사경 관계자는 “포렌식으로 전자기기의 삭제된 데이터를 복원해 증거를 찾아내고 혐의 사실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을 받을 것”이라면서 “이번 예산 편성으로 포렌식을 이용한 수사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장비와 함께 금융 수사 인력도 보강할 방침이다. 먼저 특사경 인력을 20명 증원해 모두 46명을 배치하고, 수사팀 외에 신속수사반과 디지털포렌식반도 신설한다. 카카오와 핀플루언서 사건 등 사회적 관심이 높은 불공정거래 사건을 신속하게 수사하기 위함이다. 또 검찰과 금융위에 수사 인력을 파견해 불법 공매도 등 주요 사건 수사도 지원하기로 했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