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나홀로 출생신고 증가… 전국 1위 비결은

입력 2024-01-04 14:11 수정 2024-01-04 17:50

전국적으로 출생 신고가 계속 줄고 있으나 충북만이 유일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육아수당 1000만원 등 파격적인 출산·돌봄 장려정책 효과와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기업이 다수 포진해 청년층 유입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4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충북의 출생 신고는 전년 대비 1.5% 증가해 전국 1위를 달성했다.

충북을 제외한 16개 시·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출생 신고가 모두 감소한 반면 충북은 117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충북에서는 2022년 7576명 보다 117명 증가한 7693명이 태어났다.

2023년 전국의 출생 신고는 23만5039명으로 전년 대비 1만9589명 줄었다. 서울 4만654명, 부산 1만3172명, 인천 1만3898명, 경기도 7만541명이 태어났다.

충북에선 청주(124명)와 충주(35명), 제천(47명), 증평(57명), 단양(3명)의 출생신고가 늘었고 나머지 시·군은 모두 감소했다.

도는 신혼부부가 늘고 그들의 출산 양육 부담을 경감해 주기 위한 출산·양육수당 지급이 본격화한 것이 아이 낳는 분위기 조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지난 한해 투자유치 12조9884억원(민선 8기 39조8114억원) 달성, AI 바이오영재고 유치, 충청권광역철도 청주 도심 통과 등이 청년층 유입에 한몫했다는 평가다.

도는 인구위기 극복을 도정 최우선 과제로 정하고 각종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출산육아수당 1000만원 지원과 전국 첫 난자 냉동 시술비 지원, 임산부 예우 조례 제정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5월부터 시행된 출산·육아수당은 자녀수에 상관없이 2024년 출생아의 경우 1세 100만원, 이후 4년 동안 매년 200만원 등 총 10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연 200억~300억원으로 추산되는 예산은 도와 11개 시·군이 4대 6으로 나눠 부담한다.

도는 앞으로 반값 아파트, 무이자 대출 지원, 다자녀 지원, 출산·육아 친화 기업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출생아 수 증가율 10%를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도에 따르면 시·도별 출산지원금(자체 지급 기준)은 강원도가 2760만원으로 가장 많고 충북 1000만원, 대전 540만원, 충남 360만원으로 뒤를 잇는다. 서울과 울산, 전북, 전남, 경남은 지원금이 아예 없다.

그러나 충북보다 훨씬 많은 2760만원의 지원금을 주는 강원도의 경우 오히려 출생 신고가 623명이 감소했다. 출산 지원금이 저출산 문제 해결의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는 방증이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출생아 수가 반등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이라며 “앞으로 지속적인 출생아 수 증가를 위해 혁신적이고 과감한 충북형 저출생 사업을 추진해 대한민국 인구 정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