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가 줄어들면서 올해 대입 수시모집에서 선발인원의 40%도 못 채운 대학이 지난해의 2배 수준으로 늘었다. 서울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더욱 커져 지방 대학의 수시 인원 미충족 비율은 6배나 높았다.
종로학원은 2024학년도 전국 221개 대학의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을 조사한 결과 3만7332명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수시모집 선발인원의 14.0% 수준이다. 2023학년도에는 221개 대학에서 수시모집 인원의 13.9%인 3만6446명을 충원하지 못했다. 모집인원 자체가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미충원 비율은 높아졌다.
권역별로 보면 서울권 42개 대학의 미충원 인원 비율은 3.4%였다. 수도권 47개 대학은 4.8%, 비수도권 132개 대학은 18.7%에 달했다. 주요 대학 가운데서는 연세대에서 197명, 홍익대에서 128명, 고려대에서 92명이 미충원됐다.
미충원 비율이 60% 이상인 학교가 15개교로, 전년(8곳)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4곳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은 비수도권 대학이었다. 경북지역의 한 학교는 수시 정원의 90% 이상을 채우지 못했다.
이는 학령인구 절벽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인서울 대학으로 몰려드는 수도권 집중마저 심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서울권에서 수시 미충원 규모가 지난해보다 커진 만큼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들도 정시모집 이후 추가모집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2023학년도 정시모집 후 추가모집 인원은 전국에서 1만7439명이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