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위한 자구안을 채권단에 제시했지만,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의 사재출연은 언급되지 않았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태영건설의 자구안에 대해 “충분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앞으로 워크아웃 절차에 난항이 예상된다.
윤 회장은 3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시작된 태영건설 채권단 설명회에 참석해 “어떻게든 정상적으로 사업을 마무리 짓고 채무를 제대로 상환할 기회를 주면 임직원 모두 사력을 다해 태영을 살려내겠다”고 말했다.
태영건설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으로 윤석민 태영그룹 회장의 416억원과 대주주 티와이홀딩스의 1133억원을 합산한 1549억원을 지원받는 안을 제시했다. 계열사인 에코비트 매각을 통한 자금 지원안도 포함됐다.
태영건설은 또 골프장 운영업체 블루원의 지분 담보제공과 매각 추진, 평택싸이로 지분(62.5%) 담보를 제공할 계획도 밝혔다.
하지만 채권단의 관심사였던 윤 회장 일가의 사재출연 규모, 계열사인 SBS 지분 매각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 이에 대한 채권단의 질의응답을 앞두고 윤 회장은 설명회장을 떠났다. 이로 인해 태영건설의 자구안은 채권단을 만족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설명회에 참석한 양재호 산업은행 기업구조조정1실장은 태영건설의 자구안에 대해 “현재까지는 워크아웃을 진행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자구노력을 더 해야 하고, 합의된 내용도 더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 실장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을 태영건설로 넣었어야 하지만, 티와이홀딩스 채무변제에 활용하고 400억원만 넣었다. ‘낮 12시까지 1149억원을 넣으라’고 했지만 ‘티와이홀딩스 채무변제에 계속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어렵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태영건설 설명회에 참석한 채권단은 400여곳이다. 채권단에서 관계자 700여명이 참석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