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태영건설 기업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 사태와 관련해 “금융시장 안정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필요한 경우 시장안정조치를 충분한 수준으로 즉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은행연합회관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박춘섭 경제수석과 함께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최 부총리가 처음으로 주재한 ‘F4’ 회의다. 전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최 부총리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를 채택했다.
정부의 시장안정조치는 지난해 10월 레고랜드 사태에 따라 50조원+α 수준으로 가동했다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건설사 지원 조치가 추가되면서 현재 85조원 수준으로 늘었다.
최 부총리는 “이에 더해 필요 시 추가 확대해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며 “필요할 경우 한은도 공개시장 운영을 통해 유동성 지원을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회사의 손실흡수능력도 지속해서 확충을 유도한다. 최 부총리는 “태영건설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금융권 총자산의 0.09% 수준이며 다수 금융회사에 분산돼 있어 건전성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하면서도 “금융권 스스로 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지원하기 위해 사업장별 맞춤형 대응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며 “정상화가 가능한 사업장은 적시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대주단 협약 등을 통해 사업장 재구조화도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분양계약자와 협력업체 보호 조치도 차질 없이 진행한다. 최 부총리는 “분양계약자가 있는 22개 사업장은 차질 없는 분양 이행 등 원활한 입주를 지원하는 한편 필요시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을 통해 분양대금을 환급하는 등 부동산을 분양받는 사람(수분양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581개 협력업체의 경우, 이미 가입된 건설공제조합 보증 등을 통해 하도급 대금을 적기에 지급하는 동시에 태영건설 매출 의존도가 높은 일부 하도급사에 대해서는 금융기관 채무를 1년간 상환 유예하거나 금리 감면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앞으로도 긴밀한 정책 공조를 바탕으로 잠재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 과감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과도하고 불필요한 시장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장 참여자 여러분의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주문했다.
태영건설 관련해선 “태영그룹의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전제로 엄정한 구조조정 원칙을 견지하며 태영건설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