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측이 ‘이재용-홍진영 결혼’ 등 가짜뉴스에 대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방송계 등에 따르면 방심위는 최근 유튜브 채널 ‘퓨리 크리에이터(Furi Creator)’에 대한 게시물 접속 차단을 위해 유튜브 운영사인 구글 코리아에 내용 검토를 요청했다.
이 채널은 연예인, 정치인 등을 가리지 않고 가짜뉴스를 양산해온 채널이다. 현재는 영상이 전부 삭제됐지만,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재용-홍진영 결혼’ ‘김종민-신지 결혼식 발표’ ‘김구라 정선희 재혼 임신·출산’ 등 터무니없는 내용을 담은 짧은 영상(쇼츠)이 게재됐다.
구글 측은 이메일을 통해 “보내주신 영상과 채널 전반을 담당 팀에서 검토해봤으나, 유튜브의 잘못된 정보 관련 정책을 위반한 콘텐츠를 찾지 못했다”고 회신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심위 주요 관계자들은 언론 인터뷰에서 “허위 정보로 도배된 유튜브 콘텐츠를 제재해달라고 공문을 보냈는데, 손댈 수 없다는 답변을 받고 황당했다”고 말했다.
현재 이 채널의 영상은 모두 내려갔고 채널명도 변경된 상태지만, 구글 측이 이를 강제한 것은 아니다. 방심위 측은 “유튜브 측은 ‘스팸이나 기만 행위’ ‘성행위와 과도한 노출’ ‘아동 안전’ ‘자살’ ‘폭력’ 등에 대한 정책을 담은 이른바 커뮤니티 가이드 라인을 위반한 경우가 아니면 거의 제재를 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채널의 경우 운영자가 방심위 조사에 압박을 느끼고 선제적으로 영상을 내렸지만, 비슷한 아류 ‘가짜뉴스 채널’은 버젓이 성행 중이다. 비슷한 구도의 쇼츠로 ‘백종원 사망’ ‘김연아 이혼’ 등 허위정보를 퍼뜨리는 유튜브 채널들은 많게는 수십만명의 구독자를 보유 중이다.
이런 계정들의 경우 실소유주가 누구인지 파악하기도 쉽지 않다. 방송사 관계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프로그램 출연자와 관련된 허위 내용이 올라와 수소문했지만, 접속 주소가 해외로 드러나 조치를 할 수 없었다”며 “구글 본사 차원에서 명예훼손성 허위 사실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심위에 따르면 유튜브 영상에 대한 시정 요구 건수는 2019년 438건에서 지난해 5083건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내년 총선 등을 앞두고 가짜뉴스 생산 요인이 더 많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