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동두천시가 28일 시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를 향해 지역 내 모든 미반환 공여지 즉각 반환을 촉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지난 20일 정부가 미측과 주한미군지위협정(SOFA)합동위원회를 통해 인천 부평의 캠프 마켓 등 5개 기지 약 29만㎡ 반환에 합의했으나, 가장 많은 미군기지가 있는 동두천시가 제외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박형덕 동두천시장은 “이번 공여지 반환에 동두천시가 제외된 것과 관련해 국방부로부터 어떠한 내용도 통보받지 못했다”면서 “정부의 이번 결정이 동두천시, 나아가 모든 시민을 무시하지 않고는 있을 수 없는 처사”라고 정부를 성토했다.
이어 “이제 더 이상 참지 않을 것이다. 동두천에 있는 모든 공여지를 지금 당장 반환하라”라면서 “만약 이번에도 정부에서 미온적으로 행동한다면 시민들과 연대해 대정부 투쟁에 나설 것이고 정부의 실질적인 응답이 있기 전까진 절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는 이번 공여지 반환에서 동두천을 제외한 것이 그동안 공여지 제공으로 직간접 피해를 본 동두천의 특별한 희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정부의 무책임하고도 무성의한 행태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동두천시는 현재 전국에서 가장 넓은 부지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하고 있다. 동두천시에는 현재 캠프 케이시와 호비, 모빌, 캐슬 등 4개의 미반환 기지가 있다.
이는 시 전체 면적의 18%가 넘는 17.42㎢에 달한다. 더욱 큰 문제는 이들 기지가 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동두천시 개발 자체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에 미군 공여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의 가장 큰 현안으로, 시는 미반환 공여지 돌려받기를 위해 향후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와 함께 시위·집회 등 물리적 수단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동두천시와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0월 24일 경기도청과 12월 13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앞에서 70여년 안보 희생에 대한 보상 이행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동두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