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지지자들 “검찰 비리 덮으려 이선균 터뜨려” 음모론 확산

입력 2023-12-28 13:26 수정 2023-12-28 14:52
2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배우 고(故) 이선균씨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 뉴시스

검찰이 모종의 비리를 덮기 위해 연예인을 희생양 삼아 마약 수사를 밀어붙였다는 음모론이 친야(親野)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들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법무부 장관 시절 ‘마약과의 전쟁’을 주도했다며 ‘한동훈 책임론’도 거론하고 있다.

28일 소셜미디어(SNS) 등에 따르면 온라인상에서 고(故) 이선균씨의 사망 사건과 관련해 “검찰과 한 위원장에게 책임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이 퍼지고 있다.

이들 주장의 요지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검찰이 검찰 간부들의 비리 사건에서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경찰에 이씨와 지드래곤(본명 권지용·35) 등 연예인에 대한 무리한 마약 수사를 지시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수원지검 2차장이었던 모 검사의 처남댁이 남편의 마약 투약 혐의를 고발한 사건이 지지부진하게 흘러가고 있다. 이 사건을 묻기 위해 연예인 마약 이슈를 밀어붙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이씨에 대한 수사는 경찰 손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지난 정부 때의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경찰이 수사하는 사건은 송치 이전에 검찰이 지휘하지 못한다. 경찰은 지난 23일 이씨를 불러 19시간 조사를 진행하고 전날 이씨가 사망하기까지 이번 사건을 검찰에 송치할지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였다. 검찰은 이씨 수사 관련 수사기록도 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친야 지지자들은 ‘어차피 경찰과 검찰, 정부는 한통속’이란 논리까지 펴고 있다. 한 지지자는 “경찰은 행정안전부 소속이고, 행정안전부를 지휘하는 건 윤석열 대통령 아니냐. 결국 검찰이 경찰에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한 지지자는 국민일보에 보낸 이메일에서 “이선균씨의 죽음은 이태원 참사를 마약으로 덮으려는 시도의 결과”라며 “서울의 봄을 봤는가. 지금은 군부독재가 검부독재로 바뀌었을 뿐이다. 아무리 이런 시도를 해도 내년 4월의 봄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 외 “서이초 (교사 사망) 수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도 모르는데 이선균 사건은 자세히 보도되는 걸 보니 목적이 다분하다. 공권력이 기득권이나 특정 권력층에 의해 남용되고 있는 것” “정부에 왜 잘못이 없나. 연예인 마약 사건으로 얼마나 많은 사건을 물타기 하고 있나” 등의 주장도 쏟아졌다.

이번 사태 책임의 화살을 한동훈 위원장에게 돌리는 주장까지 나왔다. 한 위원장이 법무부 장관으로 재직한 1년 7개월여 동안 ‘마약과의 전쟁’을 진행했으니 이번 마약 사건의 책임도 그에게 있다는 것이다.

일부 야권 지지자들은 “자신들의 마약과의 전쟁을 정치적 성과물로 만들기 위해 연예인들을 바보로 만들고 있다” “아직 이태원 특별법도 제정이 안 됐고 전두환 문제도 해결이 안 됐는데 마약 사건에 힘을 쏟는 것은 독재” 등 음모론을 내놓고 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