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내년부터 달라지는 부산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제도·시책 59개 6대 분야를 발표한다고 27일 밝혔다.
6대 분야는 경제·일자리·청년, 도시·교통, 보건·복지, 여성·출산·보육, 안전·환경·위생, 문화·체육·관광으로 글로벌 경제위기 등 대내외적으로 지역 경제 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시민 각계각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촘촘하게 제공한다.
경제·일자리·청년 분야는 먼저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해 동백플러스 가맹점의 추가 캐시백의 확대와 내년 생활임금 확대로 민생경제의 활력을 높이며 청년연령 상향을 통한 부산 청년들에 대한 지원정책 범위를 확대해 청년들이 활력있는 도시 조성에 힘쓴다.
도시·교통 분야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내버스 탑승 시 일회용 용기에담긴 음식물 반입을 제한해 쾌적한 시내버스 이용환경을 조성하고 시민들의 대중교통 만족도를 향상한다.
보건·복지 분야는 기초생활 수급자 선정기준의 상향과 지원금 인상, 병원안심동행 서비스, 퇴원환자돌봄 서비스 신설 등으로 부산형 돌봄 체계를 확대한다.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장애인에게 평일 점심 제공과 부산형 소아응급의료 인프라를 구축한다.
여성·출산·보육 분야는 ‘부산시 다자녀 가정 교육지원포인트’를 신설해 자녀 중 1명 이상이 초·중·고 학령에 해당하면 연간 1회 교육지원포인트(2자녀 30만원, 3자녀 이상 50만원)를 지급하고 영유아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등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에 주력한다.
안전·환경·위생 분야는 시민안전보험 보장항목에 상해진단위로금을 추가하고 강우 시 하천 진·출입 통제기준을 강화해 호우예비특보 발효 시 하천 진·출입을 즉시 차단하는 등 시민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한다.
문화·체육·관광 분야는 저소득층 대상 통합문화이용권을 인상 지원(연 13만원)하고, 5~69세의장애인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 강좌 이용권을 제공(월 11만원)하는 등 소외계층의 적극적인 문화생활 향유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내년은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실현의 원년이 될 것인 만큼 ‘시민 행복 도시 부산’을 위해 앞으로도 시민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제도와 정책을 꾸준히 발굴·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내년 부산시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이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새롭게 시행되는 제도와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시민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부산=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