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의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39분, 서울로 출근은 67분으로 각각 나타났다.
서울로의 출근 시간이 평균에 비해 1.7배 걸리는 셈이다.
경기도는 24일 지난 9월 1일부터 15일까지 도내 3만1740가구 내 15세 이상 6만2257명을 대상으로 복지, 주거와 교통, 문화와 여가, 교육, 소득과 소비, 일자리와 노동 등 6개 부문에 대해 실시한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5세 이상 도민 10명 중 6명이 출근을 하고 있으며 출근 지역은 거주하고 있는 시·군이 5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내 다른 시·군 21.4%, 서울 20.3% 순이었다.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39분이었으며 거주하는 시·군 내 출근은 평균 24분, 도내 다른 시·군은 48분, 서울로 출근은 67분이 각각 걸렸다.
연령대별로 서울로 출근은 30대(25.2%)가 가장 많고, 20대(23.7%)가 뒤를 이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서울로의 출근은 적고 거주 시·군 내 출근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로 출근은 과천(50.1%)이 가장 높고, 광명(46.9%), 하남(45.9%), 구리(42.2%) 순으로 서울과 가까운 시의 비중이 높았다.
출근 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승용차(54.1%)였으며, 대중교통 이용은 31.4%(버스 18.3%, 전철·지하철 13.1%)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10대(75.2%), 20대(53.5%)는 버스, 전철·지하철을 주로 이용해 출근하고, 30대 이상은 승용차로 출근하는 비율이 높았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