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22일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우려와 관련해 소비자 민원·분쟁 조정 등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 TF를 설치키로 했다.
금융당국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세훈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연 합동점검 회의에서 H지수 ELS 판매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투자자 손실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H지수 ELS 손실 현실화 시 소비자 민원·분쟁 조정과 판매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조치 등을 위한 ‘H지수 기반 ELS 투자자 손실 대응 TF’를 금감원에 설치해 운영키로 했다. 금감원 은행 담당 부원장보가 TF 팀장을 맡는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달 기준 H지수 ELS 총판매 잔액은 19조3000억원이며 이 중 82.1%(15조9000억원)가 은행권 판매 잔액이다.
주로 H지수가 고점이었던 2021년 초 이후 발행된 ELS 상품들이 많다. 최근 H지수 추이를 볼 때 이 상품들의 만기가 도래하는 내년 초부터 투자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2021년 2월 1만2000선을 넘어섰던 H지수는 같은 해 말 8000대까지 떨어진 뒤 현재 5000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전날 기준 5620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지난 11월 말부터 주요 판매 은행·증권사에 현장 및 서면 조사를 실시해 판매 의사 결정부터 인센티브 정책, 영업점 판매 절차 등을 중점 점검 중이다.
이세훈 사무처장은 “H지수 기반 ELS 상품과 관련해 불필요한 불안심리가 확산하지 않도록 시장과 소통하며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안내하는 한편, 향후 대응에 있어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향후 금감원 검사 결과를 토대로 금융회사의 위규 소지를 엄정히 파악하고, 불완전판매 등이 확인되면 관련 법규에 따라 신속하고 합당한 피해구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제 절차 마련에 힘써달라”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