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다만 여야가 예산안을 두고 대치를 이어가면서 헌법에 명시된 기한(12월 2일)은 19일 넘겨 처리됐다.
국회는 21일 열린 본회의에서 656조6000억원(총지출 기준) 규모의 2024년도 예산안을 의결했다.
지난 9월 국회에 제출된 정부안(656조9000억원)보다 약 3000억원이 줄어든 것이다.
증액은 약 3조9000억원, 감액이 약 4조2000억원이었다.
총지출 규모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해 국회 심사 과정에서 순감으로 전환했다.
총수입은 612조2000억원으로, 정부 원안과 비교해 1000억원가량 늘었다.
관리재정수지와 통합재정수지가 각각 4000억원씩 개선돼 국가채무도 정부안(1196조2000억원)에서 1195조8000억원으로 약 4000억원 감소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채무 비율은 지난해(50.4%)보다 증가한 51%다.
국회는 3년 연속으로 예산안을 ‘지각’ 처리했다.
여야는 이번 예산 심사 과정에서 연구개발(R&D)과 새만금, 지역화폐, 권력기관 특수활동비, 공적개발원조(ODA) 등 쟁점 예산을 놓고 줄다리기를 벌인 끝에 이달 전날 합의안을 도출했다.
주요 증액 내용을 보면 R&D 분야는 고용불안 해소와 차세대·원천기술 연구 지원, 최신·고성능 연구장비 지원 등 연구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6000억원이 늘었다.
기초연구 과제비 추가지원(1528억원) 및 박사 후 연구원(1200명 규모) 연구사업 신설(450억원), 기업 R&D 종료 과제 내 인건비 한시 지원(1782억원), 슈퍼컴퓨터 등 비용 지원 확대(434억원) 등이 포함됐다.
새만금 사업의 경우 입주기업·민자유치 지원을 위한 사업을 위주로 3000억원이 증액됐다.
고속도로(1133억원)와 신항만(1190억원), 신공항(261억원) 등도 추가됐다.
지역사랑상품권 한시 지원 예산으로 3000억원이 편성됐다.
사용처가 골목형 상점가 등으로 확대되고 발행량은 4조원에서 5조원 규모로 늘렸다.
이밖에 소상공인 금리 부담 완화를 위한 취약 차주 대출이자 일부 감면(3000억원), 영세 소상공인 대상 전기요금 인상분 일부 한시 지원(2520억원),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1년 연장(690억원) 등 예산도 늘어났다.
여야는 출퇴근 시간대에 혼잡한 수도권 대중교을 개선하기 위해 전동차(서울 4·7·9호선, 김포 골드라인)와 광역버스 증차 예산 118억원도 추가하는 데 합의했다.
국방 분야에서는 보라매(KF-21) 전투기 양산 및 레이저 대공무기 등의 사업에 2426억원이 증액됐다.
다만 기획재정부 예비비(8000억원)와 부처별 해외 공적개발원조(ODA) 예산(약 2000억원), 차기 전투기(F-X) 2차 사업(2300억원) 등 관련 예산은 국회 심사 과정에서 줄어들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