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의 ‘한동훈 비대위원장’ 체제 등장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성탄절 전 출범이냐, 성탄절 후냐’는 문제만 남았다. 비대위 체제 전환 절차를 이행하는 과정에 시간이 들기 때문이다.
특히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선거대책위원장으로 기용해야 한다는 논리로 ‘한동훈 비대위’에 반대했던 비주류들도 대세론에 따르는 기류다. 한 장관이 19일 비대위원장 수용 뜻을 시사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 장관 영입 방식은 비대위원장 ‘지명’이 아니라 ‘추대’가 될 가능성이 크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은 20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국민의힘 상임고문단과의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윤 권한대행은 오찬 간담회를 마친 뒤 “의견수렴을 순차적으로 해왔는데, 사실상 의견수렴 과정을 마무리할까 한다”며 “이제 여러 가지 고민과 숙고를 통해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윤 권한대행은 이어 “예산안이 본회의를 통과하고 나서 길지 않은 시간 안에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상임고문단 오찬 간담회에서도 한 장관의 정치 경험 부족과 이른 등판 시기 등에 대한 일부 우려가 나왔으나 ‘한동훈 비대위’에 찬성하는 의견이 훨씬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흥수 상임고문은 간담회가 끝난 후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배 12척을 이끌고 승리했다. 지금 당의 상황이 배 12척 남은 상황과 같다”며 “(한 장관도) 그런 식으로 등판해 승리로 이끌어 나가야지, 선거 지고 난 뒤에는 아껴서 무엇하냐”고 지적했다.
유 상임고문은 이어 “당정 관계 문제는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장관이 아주 신뢰 관계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바른 소리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목요상 상임고문도 “정치판에서 때가 묻은 사람보다 오히려 무색투명한 한 장관이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MZ세대들도 많이 호응해줄 것 아니겠느냐”며 “다수 의견이 그렇다”고 전했다.
다만 유준상 상임고문은 “한 장관은 국민의힘의 훌륭한 자산인데, 조기에 등판을 해서 상처를 입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비대위원장 선출을 위해 최고위원회의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야 한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