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민관합동 기구인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이하 정책위)가 공식 출범했다. 2028년까지 국민 일상 스포츠참여율 70% 달성, 스포츠 강국 주요 7개국(G7) 진입, 국내 스포츠시장 105조원 돌파 등을 목표로 제시한 ‘제1차 스포츠 진흥 기본계획’도 공개됐다.
정부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스포츠 관련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제1차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를 열었다. 이번에 출범한 정책위는 체육인 참여 보장을 위해 기존 15개 부처 외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합동위원회로 개편됐다. 민간위원으로는 이에리사 전 태릉선수촌장, 허구연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 등 9명이 포함됐다.
한 총리는 “새롭게 출범한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가 스포츠로 건강하고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1차 스포츠 진흥 기본계획에는 ‘스포츠로 국민건강·지역 활력 제고’, ‘스포츠정신의 글로벌 리더’ 등 5대 추진 전략이 담겼다.
국민 스포츠 참여를 높이기 위해 운동 인센티브(5만원 한도) 지급 대상을 올해 1만명에서 2028년 50만명으로 확대한다. 유아, 직장인, 노년층 등 생애주기별 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해 맞춤형 체력관리를 지원할 방침이다.
학교스포츠 활성화에도 나선다. 초등학교 1, 2학년의 신체활동을 확대하고 체육교과 독립 편성을 추진키로 했다. 또 1학교·1종목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스포츠 강국 도약을 목표로 선수 육성 시스템은 선진화한다. 엘리트 선수 발굴 및 수급 안정화를 위해 국가대표 선수와 지도자 처우를 개선하고, 직장운동부(실업팀) 창단·운영 지원 등에 힘쓸 예정이다. 장애인 선수 지원을 위한 노후 시설 개선, 특별 스포츠 장비 개발도 추진된다.
스포츠기업 집중 육성에도 나선다. 스포츠 기업을 종합 지원하는 K-스포츠산업 메가허브(가칭)를 조성하고, 창업 및 성장, 금융, 인력 양성 등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스포츠 외교 역량 강화, 국제스포츠 기구 진출 활성화를 위해 전문 인재 후보군을 발굴하고 적극 지원키로 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