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가 광교산 송전철탑 이전 문제와 관련, 시의 노력을 폄훼 하는 시의원의 발언에 대해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 시 집행부를 흠집내려는 것이라며 19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이교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5일 열린 시의회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민들은 지속적으로 송전철탑 이설 반대를 주장했다. 과연 그 기간 동안 용인시에서 주민의 입장이 되어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는지 묻고 싶다”며 “공사를 강행하겠다는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사업추진에 급하게 이상일 시장이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에게 서한문을 전달한 것, 그것 말고는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특별하게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었던 것이 없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는 “GH가 지난 9월 1일 광교산 송전철탑 이전 착공을 강행하려 한 것을 무기한 연기시킨 것은 이 시장과 시 공직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며 “이 의원의 발언은 사실에 근거하지도 않을 뿐더러 시장과 시의 노력을 폄훼하는 것으로 매우 유감”이라고 직격탄을 날린 것.
시는 광교산 송전철탑 이전과 관련해 2010년부터 담당 부서를 통해 수지구 성복동 주민들의 반대 의견을 공동사업시행자인 GH·경기도·수원시 등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면서 선 민원 해결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올해 9월 1일에는 GH가 공사를 강행하려고 했으나 이 시장은 8월 21일 김홍일 당시 국민권익위원장에게 중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는 등 강력 반발해 송전탑 이전 착공을 연기시킨 상태다.
시는 경기도와 갈등조정을 협의하기 위한 회의를 진행, 지난 4일과 15일 두 차례에 걸친 ‘경기도 갈등조정 협의회의’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전달했다.
8일엔 ‘경기도 갈등관리심의위원회’에 송전탑 이설 안건을 상정해 심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송전철탑 이설 공사 강행을 시가 저지시켰지만 각 시행자들의 의견 차이가 크고, 수원 경계 안의 일인 만큼 용인의 역할도 제한돼 있다”면서 “시 공직자와 성복동 주민들이 오랜 시간 힘겨운 싸움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의원이 시장 서한문 외에 뭘 했느냐는 식으로 발언한 것은 시 공직자들의 노력을 폄훼하는 기운 빠지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이 문제로 오랫동안 걱정할 때 시의회에선 단 한마디의 이야기도 나온 적이 없다”며 “시의회에서 5분 발언 한번 했다고 해서 해당 시의원이 문제 해결에 나서고 일을 하는 것처럼 시민들이 생각할 것으로 판단한다면 오판이다. 시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뭘 하는 척하는 ‘시늉’이라는 것을 왜 모르는지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