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고사 위기에 내몰린 택시업계를 돕기 위해 요금 조정 2년 정례화, 단시간 근로제, 친환경 전기차 지원 등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지난 3~10월 시행한 택시 산업 활성화 방안 등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택시운송 사업 발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이를 연차적으로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수립한 ‘택시운송 사업 발전 시행계획’은 택시업계 자생력 강화, 안전성·편리성 증대,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강화 등 3대 추진 과제와 16개 세부 추진 전략으로 구성됐다.
시는 택시업계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해 택시요금 조정 2년 정례화, 택시 기사 근로 형태 다양화(단시간 근로제), 택시 공영차고지 조성, 차량 유료 광고 구역 확대, 청년 고용 확충, 택시쉼터 확충, 친환경 택시 도입 지원 등을 추진한다.
안전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택시 플랫폼 기반 서비스 활성화,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 공급 확대, 택시 서비스 평가 의무화, 착한 택시 인증제, 택시 안전장치 설치 지원, 고령 운수종사자 의료적성 검사비 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택시운행정보관리시스템(TIMS)을 활용해 지역별 수요-공급 불일치를 해소하고, 택시 운행기록을 영상으로 저장하는 장치를 지원하는 등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강화한다.
시는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 각계 인사로 구성된 ‘택시 발전 원탁회의’를 운영해 택시업계 경영개선을 지속해서 모색하기로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 이후 승객 감소에 따른 택시업계 경영난과 첨단기술, 대중교통 발달 등 모빌리티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택시운송 사업 발전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