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정·반군, 中 중재로 ‘임시 휴전’…긴장 완화 유지될까

입력 2023-12-15 16:15 수정 2023-12-15 16:16
'1027 작전'에 참여하는 카레니민족 방위군(KNDF) 소속 대원이 지난달 14일(현지시간) 카야주에서 공습으로 갇힌 민간인들을 구조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얀마 군사정권과 소수민족 무장단체가 중국 중재로 임시 휴전에 합의했다. 그러나 저항 세력을 대표하는 민주 진영 임시정부의 공세가 이어지는 등 평화가 지속될지 불확실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전날 자국 중재로 진행된 미얀마 군사정권과 중국 국경 지역 소수민족 무장단체 간 평화회담에서 양측이 임시 휴전과 대화 유지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얀마 북부 무장 충돌이 확실히 완화하고 있다”며 “이는 미얀마 모든 당사자의 이익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중국·미얀마 국경의 평화와 평온 보장에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아라칸군(AA), 타앙민족해방군(TNLA), 미얀마민족민주주의동맹군(MNDAA)으로 구성된 ‘형제 동맹’은 군사 독재 타파를 목표로 지난 10월 27일 중국과 인접한 미얀마 북부 샨주에서 ‘1027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합동 공격을 시작했다. 이후 다른 지역 소수민족 무장단체들과 민주 진영 임시정부 격인 국민통합정부(NUG) 산하 시민방위군(PDF)이 가세해 미얀마군을 상대로 공격에 나섰다.

미얀마 군정이 동시다발적인 공세로 수세에 몰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지난 11일 군정과 형제 동맹의 평화회담 개최 사실을 전했다. 그러나 13일 형제 동맹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독재를 종식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한다”고 밝혀 평화회담이 결렬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었다.

다만 중국 정부의 휴전 발표에 대해 미얀마 군정과 형제 동맹 모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휴전에 따라 대규모의 민간인 희생도 당분간 피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유엔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이후 미얀마에서 민간인이 250여명 사망하고, 약 50만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그러나 협상 결과에 따라 언제든지 형제 동맹이 공격을 재개할 수 있는 탓에 이번 휴전 합의에 따른 긴장 완화 국면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PDF는 군정과의 협상을 거부하고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